본문 바로가기

코인정보/코인뉴스

북한 지난해 암호화폐 8000억원 탈취

북한에 의한 연간 가상자산 탈취 금액 추이. 출처=체이널리시스.

지난 한 해 동안만 북한이 암호화폐(가상자산)를 탈취한 규모가 8000억원이라는 조사가 발표됐다. 이는 전년도 연간 수출액인 1000억원 상당의 8배에 가까운 규모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의 최효진 소장은 30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1회 사이버안보 정책 포럼’에서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규모에 대해 공유하며 “2020년 국가 사이버 파워 지수에서 북한의 금융 해킹 기술이 세계 최고로 평가받은 것은 우리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준 대목”이라고 밝혔다.

이날 블록체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 코리아의 호명규 상무는 “2022년 식별된 불법 가상자산 거래액은 한화로 약 26조2600억원이며 이 중 해킹된 가상자산 총액은 5조원 가량”이라며 “특히 믹서로 세탁된 금액이 한화로 약 10조원”이라고 말했다. 믹서로 인한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가 전체 금액의 40%를 차지하는 것이다.

호 상무는 “2022년 가상자산 시장은 테라-루나 사태를 비롯해 FTX 거래소 붕괴 등 어려움을 많이 겪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가상자산 시장 범죄 피해 금액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며 “북한도 작년 한 해 가장 많은 해킹을 진행했고 국내외 현금화가 쉬운 탈중앙화 거래소들을 대상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전략에서 토네이도캐시를 비롯한 믹서 사용이 주요하다고 짚었다. 탈취된 자금이 단순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교한 자금세탁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호 상무는 “최초 탈취된 자금이 수백개의 중간지갑으로 흩어지게 되는데 이는 블록체인 특성상 가상자산 지갑이 무제한으로 생성될 수 있는 점을 이용한 것”이라며 “하나의 탈취된 자금이 추적이 불가능하도록 새로 생성된 깨끗한 지갑으로 이동되고 현금화가 가능한 거래소들을 찾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존 화폐 거래와 가상자산 거래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기존 화폐 거래는 돈을 보내고 받고 중간에 금융기관이 있고 그 외 다른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이에 비해 블록체인은 누가 보내는지 실명은 알 수 없지만, 해당 거래가 온체인 상에 기록돼 어떻게 자금이 흘러가는지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믹서 등 블록체인의 특성을 분석한다면 자금세탁 주소 파악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날 임종인 디지털자산정책포럼 대표는 “디지털자산은 오늘날 사회에서 금융의 한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며 “디지털 대전환 사회에서 핵심적인 거래, 투자, 결제 수단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가상자산 탈취 등 북한의 디지털자산 위협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반드시 대응해야 할 위협”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미 바이든 행정부의 ‘국가사이버안보전략(NCS)’에서 랜섬웨어 등 디지털자산이 결부된 사이버안보위협이 강조된 점에 주목했다. 임 대표는 “바이든 행정부가 AML/CFT, KYC와 관련된 국제규범의 형성을 촉구하고 있다”며 “디지털자산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고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국제 공조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NCS는 지난 3월 랜섬웨어 등 디지털자산이 결부된 사이버안보위협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국제적, 지역적 협력체계에 참여해 관련 규범 형성 논의에 적극 참여해 북한 발 해킹 위협에 대응해야 한다”며 “디지털자산 보안과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국제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90742